맨위로가기

이시즈카 에이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즈카 에이조는 후쿠시마현 출신으로,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법제국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대만 총독부 참사관, 민정부 외사과장, 총무국장을 역임했으며, 러일 전쟁 중에는 관동주 민정서 민정장관을 겸임했다. 이후 통감부 참여관, 조선총독부 취조국장, 농상공부 장관을 거쳐 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를 지냈다. 1929년 대만 총독에 취임했으나 무서 사건으로 사임했으며, 추밀고문관으로 재직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동주 사람 - 오타 마사히로
    오타 마사히로는 야마가타현 출신으로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한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내무성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현 지사, 경시총감, 귀족원 칙선의원, 관동 장관, 대만 총독 등을 지냈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공직에서 추방되었고 사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 관동주 사람 - 오노 로쿠이치로
    오노 로쿠이치로는 도쿄제국대학 졸업 후 내무성 관료로 시작하여 아키타현, 가가와현 지사, 경시총감, 관동국 총장을 거쳐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을 지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 통치에 관여하고 창씨개명을 추진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이다.
  • 통감부 관련자 - 메가타 다네타로
    메가타 다네타로는 일본 제국의 관료이자 법률가, 교육자로, 귀족원 의원과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일본 법률 및 재정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대한제국 재정 고문으로 화폐정리사업을 실시하여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도 공헌했으며 국제연맹 총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
  • 통감부 관련자 - 시노다 지사쿠
    시노다 지사쿠는 러일 전쟁 당시 국제법 고문으로 활동하고 한국통감부와 조선총독부에서 관직을 역임한 일본의 관료이자 법학자이다.
  • 막말 아이즈번 사람 - 마쓰다이라 가타모리
    마쓰다이라 가타모리는 에도 막부 말기 아이즈 번의 9대 번주로서 교토 수호직을 맡아 활약했지만, 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에 가담하여 패배한 후 칩거하다 닛코 도쇼구의 궁사가 되었다.
  • 막말 아이즈번 사람 - 데와 시게토
    아이즈 번 출신인 데와 시게토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으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활약, 쓰시마 해전에서 공을 세웠으며, 사쓰마 번 출신이 아닌 최초의 해군 대장이자 지멘스 사건 조사위원장으로서 해군 부패 척결에 기여했다.
이시즈카 에이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시즈카 에이조
씨명이시즈카 에이조
후리가나いしづか えいぞう
출생일1866년 9월 1일
사망일1942년 7월 28일
국적일본
출신교도쿄 제국대학
배우자아오모리현사족 야마카와 도쿠지의 딸
묘지다마 령원
관직 정보
직위제13대 대만 총독
재임 기간 시작1929년 7월 30일
재임 기간 종료1931년 1월 16일
이전가와무라 다케지
이후오타 마사히로
소속 정당민세이토
기타 정보
작위종2위
학력제국대학 법과대학
훈장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기타 경력추밀고문관
귀족원 의원
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
일본산업협회 이사
재위 기간 군주쇼와
재위 기간 총리하마구치 오사치
출생지후쿠시마현, 일본
사망지불명

2. 생애

이시즈카 에이조는 후쿠시마현 출신의 일본 관료이자 정치가이다. 아이즈번 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도쿄 대학을 졸업한 후, 법제국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조선대만에서 고위직을 역임했으며, 조선총독부 농상공부 장관, 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 대만 총독 등을 지냈다. 1934년 사망할 때까지 귀족원 의원 및 추밀고문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고토 신페이와의 갈등, 무서 사건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조선총독부와 대만 총독부에서의 그의 활동은 한국과 대만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남의 아내는 다케시타 이사무 해군 대장의 셋째 딸이다.[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후쿠시마현 출신으로, 아이즈번 무사 이시즈카 가즈사부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교리츠 학교, 제1고등학교를 거쳐 1890년 7월,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같은 해 7월, 법제국 시보가 된 후 법제국 참사관, 겸 법제국 서기관 등을 역임했다. 1894년 12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내각 고문관으로서 조선에 출장했다.[2]

2. 2. 관료 경력

후쿠시마현 출신으로, 아이즈번 무사 이시즈카 가즈사부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교리츠 학교, 제1고등학교를 거쳐 1890년 (메이지 23년) 7월,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같은 해 7월, 법제국 시보가 되었고 이후 법제국 참사관, 겸 법제국 서기관 등을 역임했다. 1894년 (메이지 27년) 12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내각 고문관으로서 조선에 출장했다.[2]

1898년 (메이지 31년) 3월, 의학계 테크노크라트로서 실적이 있는 고토 신페이를 보좌하기 위해, 고다마 겐타로대만 총독 밑에서 행정 전반을 담당하는 민정국장 기용에 불안이 있어, 문관 넘버 투로 칙임 참사관에 취임했다. 이후 대만 총독부의 참사관장, 민정부 외사과장, 총무국장을 역임했지만, 고토 민정장관과 자주 대립했고, 러일 전쟁 중인 1905년 (메이지 38년) 5월, 고다마 만주군 총참모장이 겸임하는 총병참감의 산하에 설치된 다롄관동주 민정서 민정장관을 겸임하게 되어[2], 같은 해 8월에 민정장관 전임이 되어, 고토와 근무지가 멀어졌다. 1906년 (메이지 39년) 9월, 관동도독부가 설립되자 민정장관에 취임했지만, 고토가 남만주철도 총재 겸 관동도독부 고문으로 부임해 오자 두 사람의 갈등이 재연되어, 1907년 (메이지 40년) 4월에 민정장관에서 물러나, 같은 해 9월, 통감부로 전임되어 참여관이 되었다[3]。통감부에서는 감사부장, 총무장관 사무취급을 역임했다.

1910년 (메이지 43년) 10월, 조선총독부 설치에 따라 취조국장에 취임했다. 1912년 (메이지 45년) 4월, 조선총독부 농상공부 장관이 되어, 데라우치 마사타케총독이 퇴임하는 1916년 (다이쇼 5년) 10월까지 재임했고, 같은 달 21일, 귀족원 칙선 의원에 임명되어[4], 동화회에 속해 1934년 (쇼와 9년) 4월 6일[5]까지 활동했다. 1916년 10월에 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가 되어 1923년 (다이쇼 12년) 12월까지 재임했다.

1929년 (쇼와 4년) 7월, 제13대 대만 총독에 취임했다. 무서 사건으로 인해 1931년 (쇼와 6년) 1월에 대만 총독을 사임했다.

1934년 (쇼와 9년) 3월, 추밀고문관이 되어 재임 중에 사망했다. 사망 후 훈1등욱일동화대수장이 수여되었다.

2. 3. 정치 경력

1890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법제국 시보가 된 후, 법제국 참사관, 겸 법제국 서기관 등을 역임했다.[2] 1894년에는 내각 고문관으로서 조선에 출장했다.

1898년 고다마 겐타로대만 총독 아래에서 행정 전반을 담당하는 민정국장 기용에 불안이 있어, 문관 넘버 투로 칙임 참사관에 취임했다. 이후 대만 총독부 참사관장, 민정부 외사과장, 총무국장을 역임했지만, 고토 신페이 민정장관과 자주 대립했다. 1905년 러일 전쟁 중에는 다롄관동주 민정서 민정장관을 겸임하게 되었고[2], 같은 해 8월 민정장관 전임이 되었다. 1906년 관동도독부 설립 후 민정장관에 취임했지만, 고토 신페이가 남만주철도 총재 겸 관동도독부 고문으로 부임하면서 갈등이 재연되어 1907년 민정장관에서 물러났다. 같은 해 9월, 통감부 참여관으로 전임되어 감사부장, 총무장관 사무취급을 역임했다.[3]

1910년 조선총독부 설치에 따라 취조국장에 취임했고, 1912년 조선총독부 농상공부 장관이 되어 1916년까지 재임했다. 같은 해 귀족원 칙선 의원에 임명되어[4] 동화회에서 1934년까지 활동했다.[5] 1916년 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가 되어 1923년까지 재임했다.

1929년 제13대 대만 총독에 취임했으나, 무서 사건으로 인해 1931년 사임했다. 1934년 추밀고문관이 되어 재임 중 사망했다.

2. 4. 사망

이시즈카 에이조는 1934년 (쇼와 9년) 3월 추밀고문관으로 재임 중 사망했다. 사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이 수여되었다.[6]

3. 논란 및 비판

이시즈카 에이조와 관련된 논란 및 비판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4. 영전

이시즈카 에이조는 1891년 종7위를 시작으로 1938년 종2위까지 위계가 승진했다.[7][11] 1895년 훈6등 단광욱일장을 비롯하여,[7] 1942년 욱일동화대수장까지 여러 훈장을 받았다.[7][20][21] 1909년 대한제국에서 훈1등 태극장을 받는 등[7] 외국 훈장도 다수 수여받았다.

4. 1. 위계

수여 날짜위계
1891년 (메이지 24년) 11월 28일종7위[7]
1892년 (메이지 25년) 12월 12일정7위[7]
1895년 (메이지 28년) 11월 26일종6위[7]
1897년 (메이지 30년) 10월 30일정6위[7]
1898년 (메이지 31년) 5월 30일정5위[7][8]
1903년 (메이지 36년) 7월 10일종4위[7][9]
1907년 (메이지 40년) 5월 31일정4위[7][10]
1912년 (다이쇼 원년) 10월 30일종3위[7]
1930년 (쇼와 5년) 9월 1일정3위[7]
1938년 (쇼와 13년) 12월 1일종2위[7][11]


4. 2. 훈장 등

수여 날짜훈장 및 기념장
1895년 (메이지 28년) 11월 18일메이지 27, 28년 종군기장[7]
1895년 (메이지 28년) 12월 9일훈6등 단광욱일장[7]
1899년 (메이지 32년) 6월 20일훈5등 서보장[7]
1900년 (메이지 33년) 12월 20일훈4등 서보장[7][12]
1904년 (메이지 37년) 12월 27일훈3등 서보장[7][13]
1906년 (메이지 39년) 4월 1일훈2등 욱일중광장[14],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7]
1909년 (메이지 42년) 4월 18일황태자 방한 기념장[7][15]
1911년 (메이지 44년) 6월 13일훈1등 욱일대수장[7][16]
1912년 (다이쇼 원년) 8월 1일한국 병합 기념장[7][17]
1915년 (다이쇼 4년) 11월 10일대례 기념장 (다이쇼)[7][18]
1920년 (다이쇼 9년) 11월 1일금배 1개[7]
1928년 (쇼와 3년) 11월 10일금배 1개[7]
1934년 (쇼와 9년) 4월 29일금배 1개[7]
1940년 (쇼와 15년) 8월 15일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7][19]
1942년 (쇼와 17년) 7월 28일욱일동화대수장[7][20][21]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허가 날짜국가 및 훈장
1909년 (메이지 42년) 9월 16일대한제국: 훈1등 태극장[7]
1910년 (메이지 43년) 5월 30일이탈리아 왕국: 성 마우리치오 라자로 훈2등 훈장[7]
1910년 (메이지 43년) 7월 15일대한제국: 한국 황제 폐하 남서 순행 기념장[7]
1910년 (메이지 43년) 8월 28일대한제국: 이화대수장[7]
1911년 (메이지 44년) 6월 12일러시아 제국: [7]
1911년 (메이지 44년) 9월 22일대청 제국: 2등 제1쌍룡보성[7]
1934년 (쇼와 9년) 3월 1일만주 제국: 대만주국 건국 공로장[7]
1938년 (쇼와 13년) 7월 9일만주 제국: 훈1위 경운장[7][22]


4. 3. 외국 훈장 착용 허가

5. 친족


  • 사위: 이시이 야스(1895~1968) - 외교관. 샌프란시스코 총영사, 태국 임시 대리 대사, 필리핀 공사 등을 거쳐 아시아 문제 조사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육군 대좌 이시이 타다토시의 장남이며,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가와고에 다케오는 이시이 야스의 처남이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 第5版 三省堂
[3] 서적 後藤新平をめぐる権力構造の研究 南窓社 2007
[4] 간행물 官報 1916-10-23
[5] 간행물 官報 1934-04-07
[6] 간행물 大衆人事録 東京篇
[7] 기타 石塚英蔵 아시아역사자료센터
[8] 간행물 官報 1898-05-31
[9] 간행물 官報 1903-07-11
[10] 간행물 官報 1907-06-01
[11] 간행물 官報 1939-02-16
[12] 간행물 官報 1900-12-21
[13] 간행물 官報 1904-12-28
[14] 간행물 官報 1907-05-14
[15] 간행물 官報 1909-05-24
[16] 웹사이트 中野文庫 - 旧・勲一等旭日大綬章受章者一覧(戦前の部) https://web.archive.[...]
[17] 간행물 官報 1913-04-09
[18] 간행물 官報 1916-12-13
[19] 간행물 官報 1941-10-23
[20] 간행물 官報 1942-07-31
[21] 웹사이트 中野文庫 - 旧・勲一等旭日桐花大綬章受章者一覧 https://web.archive.[...]
[22] 간행물 官報 1938-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